흔히 사회초년생이 되어 수입이라는 것이 생기게 되면 누구나 다 재테크에 대한 고민을 한번쯤 해볼텐데요. 아주 간단한 금융 상식 정보로 찾아왔어요.
예금 적금, 재테크에 입문하는 분들이 가장 선호하는 상품이죠. 기본적으로 원금을 보장하는데다 특별히 뭘 더 배우거나 공부할 필요 없이 시작할 수 있어 그만큼 더 대중적이고 친숙한 느낌이 있어요.
하지만 분명히 둘중 무엇이 나에게 더 맞고 안맞고는 존재합니다. 차이점과 어떤 상황에서는 어떤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한번 살펴볼게요.
표면 금리와 실질 금리의 차이
보통은 표면 금리가 적금이 예금에 비해 높습니다만 원금이 동일하다면 실질 금리에 따라 내 손에 들어오는 이자는 예금이 더 높은데요.
만약 내 손에 1,200만원이라는 종잣돈이 있는 상황에서 금리가 4%인 적금 상품에 매달 100만원씩 1년간 넣는 것과 금리 2.5% 정기예금에 1년 거치해두는 것 중 어떻게 하는 것이 내게 이자가 많이 들어올까요?
같은 금리라면 적금보다 예금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. 금리가 만약 4%로 같다고 한다면 적금은 세후 22만원, 예금은 세후 40여만원을 받을수가 있어요. 위의 상황이라면 적금 세후 22만원, 예금 세후 25만원의 이자를 받습니다.
그 이유는 적금은 이자를 단리로 지급하기 때문인데요. 간단히 이야기하면 적금은 첫 달에 넣는 100만원만 12개월 즉 1년의 이자 4%가 온전히 붙고 두번째 달은 11달치, 세번째 달은 10개월치, 이런 식으로 마지막 달은 한 달치만 이자가 적용됩니다. 거기에 이자에 대한 소득세 15.4%를 공제하게 되면 실질 금리는 1.83%에 불과하게 돼요.
반면 정기예금은 첫 달에 1,200만원을 한번에 납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1년간 2.5%의 금리가 온전히 보전되고 이는 이자소득세를 제하더라도 세후 이율이 2.1%가 넘는 25만원을 수령하게 되는 것입니다.
그럼 예금 적금 도대체 뭘 선택해야 하나요?
이에 대한 답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.
상대적으로 종잣돈이 부족한 사회초년생의 경우 적금으로 시작하여 시드머니를 모아야하는 것이 적합하구요.
이미 돈을 모아온 직장인이라면 개인적인 사정에 따라서 3~6개월 정도의 여유 생활 자금을 비상금 통장(파킹 통장)에 넣어두고 나머지는 정기예금에 예치시켜두는 것이 효과적입니다.
“현재” 기준 가장 높은 금리의 예금 적금 상품 찾는 법
금융감독원이 운영하고 있는 금융소비자 정보포털 파인 내의 ‘금융상품 한눈에’ 코너에서 여러 예적금 상품들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.
월 납입가능 금액, 기간, 적립 방식, 지역, 이율 계산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.
대개 1금융권 은행들보다 저축은행의 금리가 더 높고 비대면 개설의 경우 금리 우대를 해주는 경우가 많습니다.
예적금 상품 가입시 유의사항
- 현재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1인당 5천만원까지 보장이 가능하므로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최대 4천~4천5백만원 정도로 저축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이는 재정건전성 문제로 최근 이슈였던 새마을금고의 경우에도 적용됩니다.
- 한 상품에 몰빵하는 것보다는 두 세개 정도로 분산하여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. 만일을 대비하여 중도 해약을 해야되는 상황에서 손해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.
- 예적금이 만기되면 곧장 만기 인출을 하는 것이 이자 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인출을 하여 재투자를 하는 편이 좋겠죠?